기초연금 감액 계산 2025년 완전정리

기초연금 감액 계산

아버지가 국민연금을 받고 계시는데 기초연금도 신청하려고 하니까 감액된다는 얘기를 들었어요. 그래서 이것저것 알아보다 보니 계산이 꽤 복잡하더라고요. 솔직히 처음엔 정말 헷갈렸는데 하나씩 알아보니까 이해가 됐어요.

혹시 여러분도 기초연금 감액 때문에 걱정되시나요? 국민연금 받으면 기초연금이 얼마나 줄어드는지… 오늘은 2025년 기준으로 기초연금 감액 계산 방법을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2025년 기초연금 감액 제도 큰 변화

먼저 좋은 소식부터 말씀드릴게요! 2025년부터 부부 감액이 폐지됐어요. 이전에는 부부가 모두 기초연금을 받으면 20%씩 깎였는데, 이제는 둘 다 전액 받을 수 있어요.

하지만 아직 국민연금과의 연계 감액은 남아있어요. 이 부분도 조만간 없어질 수도 있다는 얘기가 있는데, 일단 2025년 현재 기준으로 설명드릴게요.

기초연금 감액이 되는 경우들

감액되는 주요 원인들을 정리해보면 이래요:

감액 사유2025년 기준설명
국민연금 연계51만 5,260원 초과분초과분의 50% 감액
부부 감액폐지됨더 이상 감액 없음
근로소득일정 공제 후공제액 초과분만 반영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건 역시 국민연금이에요. 다른 소득들은 공제액이 꽤 커서 실제로는 큰 영향이 없는 경우가 많아요.

국민연금 연계 감액 계산법

이 부분이 제일 중요하고 복잡해요. 단계별로 설명해드릴게요.

1단계: 기준선 확인
2025년 기준선은 월 51만 5,260원이에요. 국민연금이 이 금액을 넘지 않으면 감액이 전혀 없어요!

2단계: 초과분 계산
국민연금 – 51만 5,260원 = 초과분

3단계: 감액액 계산
초과분 × 50% = 감액액

4단계: 실제 수령액 계산
32만 3,000원 – 감액액 = 실제 기초연금

실제 계산 사례로 이해하기

아버지 케이스로 직접 계산해볼게요.

사례 1: 국민연금 60만원 받는 경우

  • 초과분: 60만원 – 51만 5,260원 = 8만 4,740원
  • 감액액: 8만 4,740원 × 50% = 4만 2,370원
  • 실제 기초연금: 32만 3,000원 – 4만 2,370원 = 27만 7,630원

사례 2: 국민연금 40만원 받는 경우

  • 기준선(51만 5,260원)보다 적음
  • 감액 없음
  • 실제 기초연금: 32만 3,000원 전액

보시다시피 국민연금이 기준선보다 적으면 전혀 손해가 없어요!

A급여(기초연금)와 B급여(국민연금) 차이

가끔 A급여, B급여라는 용어가 나오는데 헷갈리시죠?

구분A급여 (기초연금)B급여 (국민연금)
성격국가 복지급여사회보험
최대액32만 3,000원개인별 상이
수령조건나이 + 소득재산가입기간 + 나이
감액여부국민연금에 따라 감액기초연금 영향 없음

쉽게 말하면 A급여는 정부가 주는 용돈이고, B급여는 젊을 때 낸 보험료로 받는 거예요.

기타 소득으로 인한 감액

국민연금 말고도 다른 소득들도 영향을 줄 수 있어요.

근로소득: 일정 공제액이 있어서 조금 일하시는 정도로는 크게 영향이 없어요.

금융소득: 은행 이자, 적금 이자 등도 포함되는데 금액이 작아서 보통 문제없어요.

재산 처분: 큰 재산을 처분하거나 증여하면 일시적으로 영향받을 수 있어요.

감액 제도 완전 폐지 전망

최근에 보건복지부에서 기초연금 감액 제도를 완전히 없앨 것을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이 있어요.

만약 이게 시행되면 국민연금을 많이 받아도 기초연금을 전액 받을 수 있게 돼요. 정말 좋은 소식이죠!

다만 아직 확정된 건 아니니까, 최신 정보는 계속 확인해보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감액 계산 시 주의사항

제가 계산하면서 놓치기 쉬웠던 부분들을 알려드릴게요.

첫째, 국민연금 금액은 세전 금액으로 계산해요. 실제 받는 금액이 아니라 세금 떼기 전 금액으로 봐야 해요.

둘째, 매년 기준선이 바뀔 수 있어요. 2025년은 51만 5,260원이지만, 내년에는 또 달라질 수 있어요.

셋째, 부부 중 한 분만 국민연금을 받아도 그 금액으로 계산해요. 합산하는 게 아니에요.

기초연금 감액 계산, 이제 이해되셨죠? 복잡해 보이지만 원리만 알면 간단해요. 국민연금이 기준선을 넘지 않으면 감액이 전혀 없고, 넘어도 초과분의 절반만 깎이니까 생각보다 부담이 적어요.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주민센터나 국민연금공단에 문의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