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부모님이 기초연금을 받으시는데 부부라서 감액된다는 얘기를 들었어요. 그런데 2025년부터는 이 부부감액이 없어진다고 하더라고요! 정말 좋은 소식이어서 자세히 알아보게 됐어요.
혹시 여러분도 기초연금 부부합산 때문에 궁금하신가요? 부부가 함께 받으면 얼마나 받는지, 어떻게 계산되는지… 오늘은 2025년 달라진 기초연금 부부합산에 대해 완전 정리해드릴게요!
2025년 기초연금 부부감액 완전 폐지!
가장 중요한 소식부터 알려드릴게요. 2025년부터 부부감액 제도가 완전히 폐지됐어요!
구분 | 기존 | 2025년부터 |
---|---|---|
부부감액 | 각각 20% 감액 | 감액 없음 |
단독가구 지급액 | 100% | 100% |
부부가구 지급액 | 각각 80% | 각각 100% |
이제 부부라는 이유만으로 연금이 깎이지 않아요. 정말 획기적인 변화죠!
부부가구 선정기준액과 소득인정액
부부가구는 단독가구와 기준이 달라요. 정확히 알아볼게요.
2025년 선정기준액:
- 단독가구: 월 228만원
- 부부가구: 월 364.8만원
부부가구는 두 분의 소득과 재산을 모두 합쳐서 계산해요. 364.8만원 이하여야 두 분 모두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어요.
부부 따로 신청 가능할까요?
많이들 궁금해하시는 부분이에요.
결론: 따로 신청 불가능
- 부부는 반드시 합산해서 계산
- 한 분만 신청해도 배우자 정보 필요
- 두 분 모두 기준을 충족해야 수급 가능
- 연금은 각자 개별 계좌로 지급
신청은 합산으로 하지만, 실제 연금은 각자 받으시니까 걱정하지 마세요.
2025년 지급액 산정 방법
부부감액이 폐지되면서 지급액 계산도 달라졌어요.
기존 vs 2025년 비교:
항목 | 기존 | 2025년 |
---|---|---|
기본연금액 | 32만원 | 32만 3,000원 |
부부가구 지급액 | 각각 25만 6,000원 | 각각 32만 3,000원 |
월 증가액 | – | 각각 +6만 7,000원 |
부부가구는 한 달에 총 13만 4천원이 더 늘어난 거예요. 정말 큰 차이죠!
소득인정액 합산 시 주의사항
부부가구 소득인정액을 계산할 때 주의할 점들이 있어요.
포함되는 소득:
- 두 분의 근로소득 합산
- 두 분의 연금소득 합산
- 두 분의 사업소득 합산
- 기타 모든 소득 합산
포함되는 재산:
- 공동명의 재산 (집, 땅 등)
- 각자 명의 재산 모두
- 금융재산 (예금, 적금 등)
- 자동차, 기타 재산
숨기려고 해도 정부에서 다 조회하니까 정직하게 신고하는 게 좋아요.
실제 계산 사례
구체적인 예시로 이해해볼게요.
김씨 부부 사례:
- 남편 국민연금: 월 30만원
- 아내 국민연금: 월 20만원
- 예금: 3,000만원
- 집: 2억원 (부채 1억원)
이런 경우 소득인정액을 계산해보면 대략 300만원 정도 나와요. 364.8만원보다 낮으니까 두 분 모두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어요.
그리고 2025년부터는 각자 32만 3,000원씩, 총 64만 6,000원을 받으실 수 있어요!
신청 시 준비사항
부부가구가 신청할 때 추가로 준비해야 할 것들이 있어요.
필요 서류:
- 부부 모두의 신분증
- 각자 명의 통장 사본
- 가족관계증명서
- 부부 모두의 금융정보 제공동의서
- 소득·재산 관련 서류
서류가 좀 많긴 하지만, 한 번만 준비하면 되니까 꼼꼼히 챙기세요.
기초연금 부부합산이 2025년에 이렇게 좋아지니까 정말 많은 부부가 혜택받으실 수 있을 것 같아요. 부부감액 때문에 망설이셨던 분들은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모의계산해보시거나 주민센터에 상담받아보세요. 이제 부부가 함께 전액을 받을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