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이들 독감 예방접종 맞히려면 돈이 꽤 들잖아요? 저도 작년에 아이 둘 맞히는데 부담스러웠어요. 그런데 알고 보니 정부에서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지원을 해준다는 걸 뒤늦게 알았더라구요! 완전 무료로 맞힐 수 있는데 왜 미리 몰랐을까 후회했어요.
올해도 2024-2025절기 지원사업이 시작됐으니까, 아이 있으신 분들이나 어르신들은 꼭 놓치지 마세요!
누가 무료로 받을 수 있나요?
가장 중요한 부분부터 말씀드릴게요! 생후 6개월부터 13세까지 어린이와 어르신들이 무료로 받을 수 있어요.
구체적으로는 2011년 1월 1일부터 2024년 8월 31일까지 태어난 아이들이 대상이에요. 그러니까 올해 태어난 아기도 생후 6개월만 되면 받을 수 있는 거죠!
언제까지 받을 수 있을까요?
이거 놓치면 안 되는 중요한 정보예요! 아이들 연령에 따라 접종 시기가 다르거든요.
접종 대상 | 접종 기간 | 접종 횟수 |
---|---|---|
2회 접종 대상 (9세 미만) | 2024.9.20 ~ 2025.4.30 | 2회 |
1회 접종 대상 (그 외) | 2024.10.2 ~ 2025.4.30 | 1회 |
2회 접종이 필요한 경우:
과거에 독감 예방접종을 받은 적이 없거나 기존에 1회만 접종 받은 생후 6개월 이상 9세 미만 어린이들이에요. 이 아이들은 9월 20일부터 맞을 수 있어요!
1회 접종이면 되는 경우:
그 외 생후 6개월 이상 13세 어린이들은 1회만 맞으면 돼요. 10월 2일부터 시작이구요.
왜 아이마다 접종 횟수가 다를까요?
이거 궁금하신 분들 많으실 것 같아요. 어린 아이들은 면역력이 아직 충분히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처음 맞거나 예전에 한 번만 맞은 경우 2회 접종이 필요해요. 면역력을 확실히 키워주기 위해서죠!
반면에 이미 충분히 접종받은 경험이 있는 아이들은 1회만 맞아도 충분한 면역력을 갖출 수 있어요.
어디서 맞을 수 있나요?
이거 정말 편리해요! 지정의료기관이나 보건소에서 맞을 수 있거든요.
지정의료기관은 정말 많아요. 동네 소아과나 가정의학과에서 대부분 가능할 거예요. 보건소에서도 가능하긴 한데, 가기 전에 미리 전화해서 접종 가능한지 확인해보시는 게 좋겠어요.
어디서 맞을 수 있는지 정확히 알고 싶으시면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에서 확인하실 수 있어요! 우리 집 근처 병원들이 다 나와있어서 정말 편리해요.
더 자세한 정보는 예방접종도우미에서 확인하실 수 있고, 정부24에서도 관련 정보를 찾을 수 있어요.
병원에 갈 때 뭘 가져가야 하나요?
이거 중요해요! 무료로 받으려면 아이가 대상자라는 걸 증명해야 하거든요.
- 주민등록등본 – 아이 나이 확인용
- 국민건강보험증 – 신분 확인용
- 기타 접종 대상 확인 서류
보통 건강보험증만 있어도 되는 경우가 많은데, 간혹 주민등록등본을 요구하는 곳도 있으니까 미리 준비해가시는 게 좋겠어요. 안 가져가면 또 다시 가야 하잖아요!
어떤 백신을 맞나요?
인플루엔자 4가 예방접종을 해줘요! 4가라는 건 4가지 종류의 독감 바이러스를 예방할 수 있다는 뜻이에요.
매년 WHO에서 그 해에 유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독감 바이러스를 예측해서 백신을 만드는데, 4가지 종류를 포함해서 더 넓은 범위의 독감을 예방할 수 있어요. 3가 백신보다 더 좋은 거죠!
접종률 목표와 효과
작년 2023-2024절기를 보면 정부에서 목표로 했던 접종률이:
- 어르신: 82.0%
- 임신부: 55.0%
- 어린이: 75.0%
이 정도였어요. 꽤 높은 접종률이죠? 이렇게 많은 분들이 예방접종을 받으면 집단면역 효과도 생기고, 전체적으로 독감 유행을 줄일 수 있어요.
언제 맞는 게 가장 좋을까요?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10월이나 11월 초에 맞는 게 가장 좋은 것 같아요. 너무 일찍 맞으면 겨울 후반에 효과가 떨어질 수 있고, 너무 늦게 맞으면 독감이 유행하기 시작할 수도 있거든요.
특히 2회 접종이 필요한 어린 아이들은 첫 번째 접종을 9월에 하고, 4주 간격으로 두 번째 접종을 10월에 하면 딱 좋을 것 같아요!
궁금한 점들 Q&A
Q: 작년에 맞았는데 올해도 맞아야 하나요?
A: 네, 매년 맞아야 해요! 독감 바이러스는 매년 변하고, 백신 효과도 시간이 지나면서 떨어지거든요.
Q: 감기 걸렸을 때도 맞을 수 있나요?
A: 열이 나거나 몸이 아플 때는 피하시는 게 좋아요. 몸이 완전히 나은 후에 맞으세요!
Q: 계란 알레르기가 있어도 괜찮나요?
A: 이건 의사와 상담하셔야 해요. 요즘은 계란을 사용하지 않은 백신도 있으니까 걱정하지 마세요.
마무리하며…
정말 솔직히 말하면, 이런 좋은 제도가 있는데 모르고 있었다는 게 아까웠어요. 아이 둘 독감 예방접종 맞히려면 10만원은 족히 들텐데, 무료로 맞힐 수 있다니!
특히 올해는 코로나와 독감이 동시에 유행할 가능성도 있다고 하니까, 예방접종은 정말 필수인 것 같아요. 아이들 건강도 지키고 의료비도 절약할 수 있는 일석이조죠.
혹시 주변에 아이 있으신 분들이나 어르신들 계시면 이런 정보 공유해주세요. 2025년 4월 30일까지니까 시간은 충분하지만, 독감 유행 전에 미리 맞는 게 좋겠어요!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지원, 꼭 놓치지 마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