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 또 긁었네요. 주차하다가 기둥에 살짝 스쳤는데, 이제 자동차 자차수리 할증 때문에 고민이에요. 보험으로 할까, 자비로 할까… 여러분도 이런 경험 있으시죠?
작년에 저희 형이 똑같은 상황에서 보험처리 했다가 할증 먹고 3년간 보험료 올라가서 후회했거든요. 그때부터 이 문제에 대해서 진지하게 알아봤는데, 생각보다 복잡하더라고요.
2025년 자차수리 할증 기준
2025년 현재 자차보험 할증 기준은 200만 원이 기준점이에요. 이게 핵심인데요, 200만 원 이하면 즉시 할증은 안 되지만 무사고 할인이 3년간 묶여요.
200만 원 넘어가면? 바로 1등급 하락이에요. 그니까 보험료가 올라가는거죠.
수리비 | 할증 여부 | 영향 |
---|---|---|
200만원 이하 | 즉시 할증 X | 무사고 할인 3년 유예 |
200만원 초과 | 1등급 하락 | 보험료 즉시 인상 |
그런데 여기서 함정이 있어요. 3년간 2건 이상 보험처리하면 200만 원 이하라도 할증이 적용될 수 있어요. 이거 몰라서 당하는 사람들 많아요.
자기부담금도 고려해야 해요
자차 가입할 때 자기부담금 설정하셨죠? 보통 20만~50만 원 아니면 수리비의 20% 중 큰 금액을 내야 해요. 이게 생각보다 커요.
예를 들어서, 수리비가 150만 원이면 자기부담금 50만 원 내고, 나머지 100만 원만 보험처리 되는거에요. 그런데 무사고 할인은 유예되죠. 솔직히 좀 억울해요.
언제 보험처리 말아야 할까요?
제 경험상… 아니, 주변에서 본 경험상 이런 경우엔 자비로 하는게 나아요:
- 수리비가 200만 원 이하일 때 (특히 150만 원 이하)
- 자기부담금 빼면 실제 보험금이 얼마 안 될 때
- 최근 3년간 이미 1번 보험처리한 적 있을 때
- 무사고 할인 등급이 높을 때
저도 지난달에 범퍼 긁힌거 견적 내봤는데 120만 원 나왔어요. 자기부담금 30만 원 빼면 90만 원인데, 3년 무사고 할인 날리기엔 아까워서 그냥 자비로 했어요.
할증 등급은 어떻게 되나요?
자동차보험 등급은 A부터 H까지 있는데, 사고 날 때마다 1등급씩 떨어져요. 반대로 무사고면 1년마다 1등급씩 올라가고요.
대인사고는 4등급까지 떨어질 수 있어요. 자차수리는 그나마 1등급이니까… 뭐랄까, 그래도 낫다고 해야 하나?
예방하는 방법들
가장 좋은건 당연히 사고 안 내는거죠. 하지만 현실적으로 쉽지 않잖아요. 저도 아무리 조심해도… 음, 가끔 실수하게 되더라구요.
블랙박스는 필수에요. 사고 나면 과실 비율 따질 때 진짜 중요해요. 저희 동생이 이거 덕분에 과실 비율 줄인 적 있거든요.
그리고 주차할 때 특히 조심하세요. 경미한 접촉사고가 제일 많이 일어나는게 주차장이에요. 기둥이나 다른 차 긁는 경우가 대부분이거든요.
보험사별 차이도 있어요
사실 보험사마다 할증 기준이 조금씩 달라요. 어떤 곳은 150만 원, 어떤 곳은 200만 원… 가입할 때 꼭 확인해보세요.
갱신할 때도 여러 보험사 비교해보시면 좋아요. 할증 먹었다고 해서 무조건 같은 보험사에만 있을 필요 없거든요.
사고 났을 때 대처법
사고 나면 일단 당황하지 마시고, 보험사에 바로 연락하세요. 그리고 견적 먼저 받아보세요. 보험처리할지 자비로 할지는 그 다음에 결정해도 늦지 않아요.
현장사진도 많이 찍어두시고요. 나중에 과실 비율 따질 때 도움 되거든요. 특히 신호등이나 교통표지판 같은 것도 같이 찍어두세요.
자동차 자차수리 할증… 정말 복잡하죠? 하지만 미리 알고 대비하면 불필요한 손해는 막을 수 있어요. 가장 중요한건 안전운전이지만, 혹시나 싶을 때는 오늘 정리해드린 내용 참고해서 현명하게 대처하세요!
더 자세한 정보는 보험개발원(https://www.kidi.or.kr)이나 각 보험사 고객센터에서 확인하실 수 있어요. 궁금한 점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