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친구와 카페에서 이런 얘기를 나눴어요. “요즘 물가가 너무 올라서 혼자 살기 힘들어졌다”고요. 그래서 궁금해졌죠. 과연 1인 최저 생활비가 얼마나 될까요?
알아보니까 정말 충격적이더라구요.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많이 나왔어요.
2025년 기준 1인 최저 생활비는 143만원
보건복지부에서 공식 발표한 2025년 1인 최저 생활비는 월 143만 5,208원이에요. 작년보다 7.34%나 올랐다고 하더라구요.
처음 이 숫자를 봤을 때… “어? 이게 맞나?” 싶었어요. 제가 생각한 최저 생활비와는 좀 달랐거든요. 그런데 자세히 알아보니까 이유가 있더라고요.
구분 | 2024년 | 2025년 | 인상률 |
---|---|---|---|
1인 가구 | 1,337,582원 | 1,435,208원 | 7.34% |
2인 가구 | 2,207,128원 | 2,367,784원 | 7.28% |
3인 가구 | 2,847,834원 | 3,054,851원 | 7.27% |
4인 가구 | 3,478,592원 | 3,729,913원 | 7.22% |
1인 가구 인상률이 제일 높네요. 뭔가… 혼자 사는 사람들에게 더 가혹한 현실이 온 것 같아요.
그런데 이 돈으로 정말 살 수 있을까?
솔직히 말해서, 143만원으로 서울에서 혼자 살기는 좀 빠듯할 것 같아요. 특히 월세까지 생각하면요.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가 하나 있어요. 공식 최저 생활비에는 월세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요. 이건 정말 의외였어요.
그러니까 실제로는 월세 + 143만원 정도로 봐야 한다는 거죠. 그럼 서울 기준으로는 최소 200만원 이상은 필요하다는 계산이 나와요.
월세는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
개인회생이나 파산 절차에서는 월세를 별도로 인정해준다고 해요. 지역별로 다르지만 보통 60~80만원 정도까지는 추가로 생계비에 포함시켜준다고 하더라구요.
그럼 서울의 경우:
- 기본 생활비: 143만 5,208원
- 월세: 60~80만원
- 총 필요 금액: 203~223만원
이 정도가 나오네요. 생각보다 많이 필요하죠?
최저 생활비에 뭐가 들어있을까?
최저 생활비 산정에는 생각보다 많은 항목들이 포함되어 있어요. 단순히 먹고 자는 것만 고려한 게 아니라, ‘인간다운 삶’을 위한 비용들이 들어있거든요.
구체적으로는 이런 것들이 포함되어 있어요:
- 식료품비 – 기본적인 식재료와 외식비
- 의료비 – 건강보험료, 약값, 병원비
- 통신비 – 휴대폰, 인터넷 요금
- 교육비 – 자기계발, 평생학습 비용
- 여가비 – 최소한의 문화생활과 취미
- 교통비 – 대중교통, 교통카드
예전에는 정말 생존만 고려했다면, 이제는 사회적 활동도 고려한다는 거죠. 그래서 금액이 더 높아진 것 같아요.
어디에 활용되는 기준일까?
이 최저 생활비 기준이 실제로 어디에 쓰이는지 알아보니까 생각보다 중요한 곳에 많이 활용되더라구요.
개인회생이나 파산 절차에서 가장 많이 쓰여요. 법원에서 “이 사람이 최소한 인간다운 삶을 살 수 있는 돈을 남겨두고 나머지로 빚을 갚게 하자”고 판단할 때 기준이 되거든요.
그리고 각종 복지제도에도 활용돼요. 보건복지부에서 기초생활수급자를 선정할 때도 이 기준을 참고한다고 해요.
최근엔 최저임금 논의에서도 이 기준이 자주 언급된다고 하더라구요. 실제로 최저시급으로 한 달 일했을 때 이 금액이 나오는지 비교해보곤 한다고 해요.
지역별로 차이가 있을까?
궁금해서 이것도 알아봤어요. 공식적으로는 전국 동일한 금액이에요. 그런데 실제로는…
당연히 지역별로 생활비 차이가 크죠. 서울과 지방 소도시의 물가가 같을 리 없으니까요. 그래서 실제 개인회생 같은 절차에서는 지역 상황을 어느 정도 고려해준다고 해요.
특히 주거비 부분에서 지역차이를 인정해주는 경우가 많다고 하더라구요. 서울에 사는 사람과 지방에 사는 사람의 월세가 다르니까 당연하다고 생각해요.
1인 최저 생활비 계산 방법
이 금액이 어떻게 나오는지도 궁금했어요. 알아보니까 단순한 계산이 아니더라구요.
기본적으로는 기준 중위소득의 60%로 시작해요. 기준 중위소득이라는 건 전국 가구들의 소득을 줄 세웠을 때 딱 가운데 있는 소득을 말하는 거예요.
그런데 여기에 여러 가지 요소들을 추가로 고려해요:
- 물가 상승률
- 최근 생활비 증가 추세
- 사회적으로 필수가 된 새로운 비용들
- 경제 상황 변화
그래서 단순히 60%만 적용하는 게 아니라, 실제 생활에 필요한 비용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해서 최종 금액이 나오는 거죠.
현실적인 조언
이 글을 읽고 계신 분들 중에 혹시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에 계신 분들이 있을까봐 몇 가지 정보를 더 드리고 싶어요.
만약 월 소득이 이 금액보다 적다면,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제도들이 있어요. 기초생활수급이 대표적이구요.
그리고 개인회생이나 파산을 고려하고 있다면, 이 금액을 기준으로 변제계획이 세워진다는 점도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아요. 전문가와 상담받을 때 참고하시길 바래요.
참고로 법무법인에서 무료 상담을 해주는 곳들도 많으니까, 혼자 고민하지 마시고 도움받으시길 바래요.
마무리
1인 최저 생활비가 143만원이라고 하지만, 실제로는 월세까지 고려하면 200만원 이상은 필요할 것 같아요. 특히 서울 같은 대도시에서는요.
그래도 이런 기준이 있다는 것 자체가 의미있다고 생각해요. 최소한 “이 정도는 벌어야 사람답게 살 수 있다”는 사회적 합의가 있다는 거니까요.
혹시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에 있으신 분들은 이 기준을 참고해서 정부 지원이나 법적 구제 방안을 찾아보시길 바래요. 절대 혼자 끙끙 앓지 마시고 도움받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