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여러분! 매년 이맘때쯤 되면 궁금해지는 게 있죠? 바로 2025년 4대보험 요율이 어떻게 바뀌는지 말이에요. 솔직히 말하자면, 저도 매번 헷갈려서 찾아보곤 하는데… 이번엔 제대로 정리해봤어요.
지난주에 회사 인사팀에서 새해 급여 명세서 설명회를 했는데요. 다들 제일 관심있어 하는게 4대보험이더라고요. 그니까요, 급여에서 빠지는 돈이니까 당연히 신경쓰이죠.
2025년 4대보험 기본 정보
일단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2025년에는 대부분의 보험료율이 동결되었습니다! 네, 맞아요. 작년과 거의 비슷해요. 그래도 혹시 모르니까 자세히 알아볼까요?
보험명 | 근로자 부담률 | 사업주 부담률 | 총 부담률 | 변경사항 |
---|---|---|---|---|
국민연금 | 4.5% | 4.5% | 9% | 동결 |
건강보험 | 3.545% | 3.545% | 7.09% | 동결 |
장기요양보험 | 0.9182% | 0.9182% | 1.8364% | 동결 |
고용보험 | 0.9% | 0.9%+α | 1.8%+α | 동결 |
산재보험 | – | 업종별 차등 | 업종별 차등 | 대부분 동결 |
실제 계산해보기
그럼 실제로 월급 300만원 받는 직장인을 예로 들어보겠어요. 진짜 계산기 두드려가면서 해봤습니다!
- 국민연금: 300만원 × 4.5% = 135,000원
- 건강보험: 300만원 × 3.545% = 106,350원
- 장기요양: 106,350원 × 12.95% = 13,772원
- 고용보험: 300만원 × 0.9% = 27,000원
총 282,122원이 매월 4대보험료로 나가는 셈이네요. 아, 물론 회사도 똑같은 금액을 부담하고 있어요.
주목할 점과 변화 전망
사실 이번년도 가장 관심있게 지켜봐야 할 건 국민연금이에요. 7월쯤 되면 요율 조정 논의가 있을 수도 있거든요. 기금이 점점 바닥나고 있어서 말이죠…
그리고 또 하나! 산재보험은 업종마다 다르니까 꼭 확인해보세요. 제조업이랑 사무직이랑 요율이 다르거든요.
더 자세한 정보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이나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어요.
마무리하며
뭐랄까, 2025년에는 큰 변화가 없어서 다행이라고 해야 할지… 솔직히 복잡한 마음이에요. 하지만 확실한 건 우리 모두 4대보험의 혜택을 받고 있다는 거죠!
혹시 계산하다가 헷갈리는 부분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로 물어보세요. 같이 알아가봐요!